알툴즈 알집 알씨 광고 제거하는 방법

윈도우 바탕화면에 뜨는 알툴즈(알씨, 알PDF, 알송, 알캡쳐, 알집 등) 광고창은 필요한 사람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. 이 광고창은 작업 도중 집중력을 방해하거나, 중요한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눈에 거슬릴 수 있습니다. 특히, 광고가 갑작스럽게 나타나거나 자주 뜬다면 그때마다 닫기 버튼을 비롯해 여러 번의 클릭을 해 주어야 하므로 그 불편함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이 글을 작성하는 도중에서 알툴즈 광고가 2번이나 뜨는군요.
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알툴즈 광고창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더 쾌적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
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
▲ 우선 윈도우의 메모장을 '관리자 권한으로 실행'해 주어야 합니다.
윈도우의 설정 파일을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메모장이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'이 되어야 합니다.
hosts 파일 열기

▲ 메모장 상단 메뉴 중 파일 > 열기를 선택해 주세요.

▲ 열기창이 나타나면 윈도우 설치 폴더의 System32 > drivers > etc 폴더로 들어간 후
창의 아래쪽 파일 종류를 '모든 파일'로 변경하신 후
파일이름이 hosts인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.

▲ 메모장에 hosts 파일이 열리고 그 내용이 위와 같이 보이게 됩니다.
hosts 파일 수정(조작)하기

▲ 파일 내용 가장 아래쪽에 위와 같이 두 줄의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.
127.0.0.1 displayadimg.zumst.com 127.0.0.1 displayad.zum.com |

▲ 다음으로 파일 > 저장을 선택해 주세요.

▲ 그냥 저장이 완료되는 경우도 있지만 위와 같이 '다른 이름으로 저장'하는 창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.
그럴 때에는 위와 같이 파일 형식을 '모든 파일'롤 바꿔 주신 후 파일 이름은 hosts로 선택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저장이 완료됩니다.
혹시 hosts 파일이 수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그럴 때에는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.
▼ ▼ ▼ ▼ ▼
윈도우 hosts 파일이 수정 저장되지 않을 때 조치 방법(알약이 설치된 경우)
윈도우 hosts 파일이 수정 저장되지 않을 때 조치 방법(알약이 설치된 경우) https://lemonvita.tistory.com/entry/%EC%95%8C%ED%88%B4%EC%A6%88-%EC%95%8C%EC%A7%91-%EC%95%8C%EC%94%A8-%EA%B4%91%EA%B3%A0-%EC%A0%9C%EA%B1%B0%ED%95%98%EB%
lemonvita.tistory.com
윈도우 시작 프로그램 설정

▲ 윈도우 하단 검색란에 '시작 앱'이라고 치고 시작 앱을 선택해서 들어가 주세요.

▲ 시작 프로그램에서 알캡쳐 항목을 '끔'으로 바꾸어 주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윈도우 개인 정보 설정하기


윈도우 개인 정보 옵션 변경에서 모든 항목을 모두 '끔'으로 바꾸어 줍니다.
hosts 파일을 수정하면 광고가 안 나오는 이유
이상의 방법으로 알툴즈 광고창이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되는데요. 그 원리를 설명해 보겠습니다.
hosts 파일을 수정하여 알툴즈 광고를 제거하는 원리는 특정 도메인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다른 IP 주소로 리디렉션 하는 것입니다. hosts 파일은 운영체제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, 사용자가 지정한 도메인에 대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. 이를 활용하여 광고 서버의 도메인을 로컬 IP 주소(예: 127.0.0.1)로 매핑하면 해당 도메인에 접근할 수 없게 되어 광고가 표시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.
이상으로 알툴즈 사용자의 pc에 너무나도 자주 뜨는 광고창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
조치 방법이 약간 귀찮을 수도 있지만 한 번 조치해 놓으면 그 후로는 맘 편히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으니까 한 번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'vita_IT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약 윈도우 광고창 삭제하는 방법 (0) | 2024.06.18 |
---|---|
윈도우 hosts 파일이 수정 저장되지 않을 때 조치 방법(알약이 설치된 경우) (0) | 2024.06.17 |
윈도우에서 전자와 반자 키보드 설정 : 알파벳 띄어쓰기 문제 해결법 (0) | 2024.06.16 |
엑셀을 연동한 구글 지도에 여러개의 주소 위치 표시하기 (0) | 2024.06.09 |
구글 드라이브 파일탐색기에 등록하고 사용하기 (2) | 2024.06.08 |